관련 인물 : 김문갑, 노현섭, 김성립, 이봉규, 윤시형, 조억제
[역사적 배경]
마산은 1948년 정부 수립 직후부터 ‘야당도시’라 불릴 정도로 혁신 세력에 대한 지지가 높은 지역이었다.
1952년 8월 5일 치러진 제2대 대통령선거에서 마산의 유권자들은 진보개혁의 기치를 들고 출마한 조봉암 후보에게 1만 1262명이 표를 몰아줬다. 당시 마산의 유효 투표자 수는 3만 3559명이었으니 33%의 시민이 조봉암을 밀었던 것이다. 이는 전국 평균 조봉암의 지지율(11%)보다 훨씬 높았다. 당시 창원군민들도 총 7만 7332명의 투표자 가운데 2만 2630명이 조봉암을 찍어 29%의 지지율을 보였다.
1956년 3대 대선에서도 이승만은 2만 2770표, 조봉암은 2만 156표를 얻었다. 당시 마산의 유효 투표자 수는 4만 2926명. 47%의 시민이 진보당 대통령 후보를 밀었던 것이다. 당시 창원군민은 2만 4653명(40%)이 조봉암 후보를 지지했다. 이 역시 조봉암의 전국적인 득표율 36%보다 훨씬 높은 것이었다.
그래서인지 1960년 3·15의거와 4·19혁명으로 이승만 정권이 붕괴하자 마산에서도 ‘혁신’을 표방한 정당과 단체가 잇따라 발족했다.
[경과]
마산의 혁신세력은 1960년 5월 5일 <마산일보>에 ‘한국 혁신세력 집결 마산촉진회’ 명의의 격문을 발표하면서 활동을 재개하게 된다. 이들은 5월 7일 혁신정당 발기인 46명중 35명이 참석한 가운데 대회를 열고 한범석을 임시의장으로, 이상두·김문갑을 부의장으로 선출하고 7개 부차장을 선임했다.
이런 과정에 따라 마산의 혁신세력은 김문갑을 위원장으로 하는 사회대중당 마산시당을 창당했다. 참여한 인사들은 △위원장 김문갑 △부위원장 김진정·이상두 △통제위원장 조억제 △총무부장 김기석 △총무차장 김옥선 △조직부장 최재문 △선전부장 장정호 △선전차장 박진방 △기획부장 노준섭 △기획차장 강훈 △재정부장 권태무 △감찰부장 한범석이었다.(오늘의 마산)
통일운동단체인 한국영세중립화통일추진위원회(위원장 김문갑), 한국전쟁 당시 민간인학살 진상규명 운동단체인 마산지구양민학살유가족회(회장 노현섭), 교육운동단체인 마산시 중등교원노조(위원장 이봉규)와 초등교원노조(위원장 황낙구)도 결성되었다.
생전에 경남도민일보를 방문한 김문갑 한국영세중립화통일추진위원장(가운데). 당시만 해도 내 얼굴이 빵빵했었네요.
그러나 이들 혁신세력은
7·29 총선에서 공천을 둘러싸고
분열양상을 보이다
급기야 공천에서 떨어진 사람들까지
함께 출마해 이전투구를 벌이게 된다.
마산에서만 윤시형(사회대중당), 조억제(사회대중당), 노현섭(무소속), 김성립(한국사회당) 등 4명의 혁신계 인사가 동시에 출마했던 것이다.
이들은 한결같이 ‘4월혁명 완수’ ‘부정축재 몰수’ ‘독재타도’ ‘빈곤에서의 해방’ 등을 기치로 내걸었으며, 특히 노현섭씨는 “부정선거 원흉 및 양민학살 관련자를 철저히 처단하겠다”는 공약을 내걸었다. 그러나 시민들은 분열된 혁신세력을 신뢰하지 않고, 3·15의거의 기폭제 역할을 했던 민주당 정남규를 당선시킨다.
활발한 사회운동은 1961년 5·16군사쿠데타로 다시 단절되고 만다. 사회대중당 간부들은 물론 양민학살유족회, 영세중립화통일추진위, 교원노조 등의 핵심간부들은 모두 쿠데타군에 의해 연행되었다. 이들은 소급입법된 ‘특수범죄 처벌에 관한 특별법’에 의해 ‘용공 혐의’를 쓰고 대부분 유죄판결을 받았다.
그로부터 48년이 지난 2009년 10월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가 '5·16쿠데타 직후의 인권침해사건'에 대한 진실규명 결정을 내리고, 법원의 재심과 피해자의 명예회복을 위한 특별법 제정을 권고했고, 유족이 재심 신청을 했던 일부는 무죄 판결을 받아냈다.
[참고 문헌]
김주완, <토호세력의 뿌리>(도서출판 불휘, 2006)
이진순, <오늘의 마산>(오늘의 마산편찬위원회, 1970)
※디지털창원문화대전에 써줬던 원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