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마산+창원+진해가 통합 창원시가 되면서 첫 시장으로 박완수 후보가 뽑혔습니다. 한나라당 공천 경쟁에서 적수인 황철곤 당시 마산시장을 물리쳤습니다. 황 시장은 마산 앞바다 매립지 막개발에 적극적이었습니다. 박완수 후보는 본선에서 '마산해양신도시 개발 재검토'를 공약했습니다.
또 당선 직후인 그해 9월에는 마산해양신도시 건설사업 추진방향 조정위원회도 발족했습니다. 게다가 2012년 7월 <경남도민일보>와 만난 자리에서는 "공동주택과 대형 상업시설을 배제했다. (공공시설물의) 용도 문제가 남았는데 여론을 수렴해 결정하면 된다"고 했습니다.
2014년 임기를 마친 박 시장은 인천국제공항공사 사장을 1년 남짓 지내더니 이번 4·13 총선에서 새누리당 창원의창 선거구 후보로 나와 당선되었습니다.
박완수.
박 시장 재임 시절인 2011년 10월 15일에는 마산합포구청에서 '마산해양신도시 개발계획 관련 시민토론회'가 열리기도 했습니다. 창원시 해양개발사업소 당시 소장이 "아파트·상업시설은 짓지 않겠다"고 못박아 말한 자리였습니다.
이 날 토론회를 마련한 주체는 마산합포가 지역구인 이주영 국회의원이었습니다. 이 의원은 이후로도 아파트와 상업시설을 들이세우는 데 반대하는 발언을 꾸준히 해왔습니다. 그리고 2014년 3~12월에는 마산 앞바다에 매립지를 만드는 주무 부처인 해양수산부 장관까지 지냈습니다.(세월호 참사 뒷감당에 자기 역량의 대부분을 할당할 수밖에 없었기는 하지만)
이 의원은 이번 총선을 앞두고 열린 한 토론회에서도 "공청회 등을 통해 시민이 공감하는 방향으로 진행해야 한다"고 밝혔었습니다.
2014년 지방선거에서 새누리당 공천으로 당선된 안상수 창원시장도 2년 동안은 이런 기조를 이어왔습니다. 그러더니 올 3월 갑자기 바꾸었습니다. 표변 과정이 거의 야바위 수준이어서 원래 패가 무엇이었는지조차 종잡지 못할 정도였습니다.
우선협상대상자로 지정된 부영주택이 아파트 3928가구와 오피스텔 1863실을 짓는 계획을 제출했습니다. 아파트·오피스텔·상업시설은 없다는 방침과 전혀 맞지 않는 계획이었습니다. 그런데도 창원시는 반려하지도 않았고 탈락시키지도 않았습니다.
대신 '너무 지나치니까 아파트는 2500가구 정도만 오피스텔도 1500실 정도만 지을래?', 부영이 냉큼 받아들일 만한 수준으로 스스로 고쳐 내놓았습니다. 부영이 할 일을 행정이 대신 해준 꼴입니다.
안상수
이렇게 해서 지금껏 지켜져 온 '아파트·상업시설 없는 공공용도 개발'이라는 방침은 가뭇없이 사라졌습니다. 그런데도 책임지는 사람 하나 없고 사과하는 사람 또한 하나 없습니다.
여태 정책 결정 당사자 역할을 해 온 박완수·이주영 두 국회의원도 아무 소리가 없습니다. 거의 '용각산' 수준이라 하겠습니다. 자기가 추진한 정책 방향이 감쪽같이 꺾어졌는데도 이렇습니다. 미리 배짱을 맞추지 않았다면 이런 용각산은 있을 수 없는 일이 아닐까요?
이로써 박완수·이주영 두 국회의원 또한 이번 야바위의 숨은 주역이라는 비판을 벗어날 수 없게 되었습니다. 아무리 역할을 줄여도 '바람잡이' 노릇은 톡톡히 했다고 봐야 하지 싶습니다.
이주영
게다가 마산해양신도시는 건설되면 옛 마산을 중심으로 한 창원 전체의 공동화를 부추기는 재앙이 될 개연성이 높습니다. 창원시는 다른 지역에서 인구가 유입될 개연성이 크지 않습니다.
마산해양신도시에 아파트 2500가구와 오피스텔 1500실이 들어서면(부영은 집장사로 크게 돈을 벌겠지만) 거기 살 사람 대부분은 창원의 다른 지역에서 옮겨오는 셈이 됩니다. 그러잖아도 텅텅 비어가는 창원 다른 지역이 더욱 빠르게 공동화될 수밖에 없다는 얘기입니다.
사정이 이런데도 지역 매체 또한 제대로 소리를 내지 않고 있습니다. 왜일까요? 건망증 탓일까요, 떡고물 탓일까요?
어린아이 돌보는 경우를 보면 알 수 있습니다. 방관도 때로는 심각한 학대가 된다는 사실을 말씀입니다. 가난하고 힘없고 소외된 지역 주민들이 딱 바로 그런 어린아이 짝입니다.
※<경남도민일보> 6월 22일치 '데스크칼럼'으로 썼던 글을 전체적으로 좀 보완했습니다.
김훤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