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ntcast
Channel: 후라이밍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1163

마을에 이로운 대곡숲, 아들 돌아본 고자치

$
0
0

2015 경남 이야기탐방대 (2) 

사천 대곡숲과 고자치


이야기를 찾아나서는 발길은 대체로 언제나 설레기 마련입니다. 있는 이야기를 찾아내기도 하고 없는 이야기를 만들어내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인지 몸이 찌뿌둥하다가도 금세 개운해지고 마음이 가라앉아 있다가도 속절없이 가벼워집니다. 


한국콘텐츠진흥원과 경남문화예술진흥원이 주최·주관하는 2015 경남 스토리랩 이야기 탐방대의 첫걸음은 9월 21일 사천으로 향했습니다. 소나무가 주류여서 느낌이 색다른 마을숲과 고려 여덟 번째 임금 현종 부자의 사연이 서린 고개를 찾는 여정이었습니다. 


◇일제가 헐었어도 남은 마을숲 = 대곡(大谷)은 토종말로 풀면 '한실'이 됩니다. '한'은 크다는 뜻이고 '실'은 골짜기나 고을을 이른답니다. 골짜기가 크면 물이 넉넉하고 덕분에 들판도 너르지요. 


사천 정동면 ‘대곡’마을도 그렇습니다. 여기 골짜기를 타고 내리는 개울은 이름이 대곡천인데, 좀더 큰 사천강에 들기 전에 마을 앞에다 너른 들판을 베풀었습니다. 


오토바이를 타고 있는 사람이 바로 오씨 성 가진 마을 주민입니다.


대곡마을숲은 남북으로 200m 남짓 됩니다. 사람들 보살핌을 받는 덕분인지 굵은 줄기들 이리저리 휘어짐이 자유롭습니다. 일행은 현장에서 성이 오씨인 동네 주민 한 사람을 우연히 만났습니다. 그이는 예전에는 마을숲이 지금보다 서너 배는 더 길고 두텁게 형성돼 있었다고 했습니다. 


나이가 예순 남짓으로 짐작되는 그이는 어릴 적 어른한테 들었다면서, 일제 때 국민학교·면사무소·파출소 등을 만들면서 숲을 많이 망쳤다고 했습니다. 그이도 여기 있었던 정동국민학교를 다녔을 것 같습니다. 


일제가 이 땅에서 과거를 지우는 전형적인 수법이 바로 이런 관공서 앉히기였습니다. 국민학교·면사무소·파출소는 제각각 정신과 행정과 치안을 통한 지배를 위한 최첨병이었습니다. 일제는 이런 식민통치기구를 마을(고을)에서 소중하게 여기는 공간에 들이앉혔습니다. 


그런 장소가 품은 기억도 함께 지웠습니다. 마을숲은 마을사람들한테 쉼터·놀이터·제사터였습니다. 일제는 공간을 무너뜨리면서 거기 삶들이 품고 있던 사연까지 없애버렸습니다. 


◇나무의 말을 들을 수 있다면 = 일제강점 이전 마을숲을 떠올려보면 이렇습니다. 마을 뒤편 골짜기를 이루는 산줄기 두 개가 마을을 오른쪽과 왼쪽에서 감쌉니다. 마을숲은 두 산줄기가 들판과 만나는 끝 지점 두 곳을 이어주도록 들어서 있습니다. 산줄기 둘과 마을숲 하나가 이등변삼각형으로 마을을 오붓하게 감쌉니다. 상상만으로도 느낌이 참 따뜻해집니다. 


숲은 사실 그 자체만으로도 이로운 존재입니다. 여름에는 잎사귀를 통해 물기를 뿜음으로써 더위를 누그러뜨리고 겨울에는 바람을 가림으로써 추위를 막습니다. 나무들은 땅 속 깊숙이 박은 뿌리로 물도 머금어주고 홍수가 지면 넘치지 않도록 막아주기도 합니다. 



모자라는 구석을 메워주는 비보(裨補) 기능도 있습니다. 풍수지리를 따르면 대곡마을은 곡식을 까부르는 키 모양으로 앞쪽이 트여 재물이나 기운이 바깥으로 빠져나가는 형국이라 합니다. 이를 막으려고 마을 앞을 숲으로 크게 감쌌던 것입니다. 


대곡마을숲은 대부분 소나무입니다. 경남에 있는 마을숲 가운데는 이렇게 소나무가 많은 경우가 드물다고 하지요. 참나무·느티나무·서어나무·회화나무 같은 잎넓은나무로 채워진 데가 다수라는 것입니다. 경남에서는 가장 북쪽에 있는 지역인 거창 정도에서나 솔숲이 많아집니다. 어쨌든 솔숲에 드니 절로 시원해졌습니다. 솔바람까지 살랑거리고요. 


문득 궁금해집니다. 나무들 여기 뿌리내리고 자라면서 무엇을 보고 들었는지, 비 맞고 바람 흘리면서 무엇을 씻어내고 떠나보냈는지……. 나무가 하는 말을 들을 수 있다면 얘기가 풍성할 것 같습니다. 


사람은 길어야 100년밖에 못 살지만 소나무는 훨씬 더 오래 400년 500년을 사니까요. 그리고 사람처럼 보고 싶은 대로 보고 듣고 싶은 대로 듣는 어리석음도 없으니까요. 


◇안타까운 심정으로 아들 돌아보며 넘던 고개 = 고자치는 고려 왕족 왕욱이 귀양을 살러 와 있을 때 아들 왕순(나중 제8대 임금 현종)이 있던 쪽을 돌아봤다는 고개입니다. 돌아볼 고(顧) 아들 자(子) 고개 치(峙)로 된 한자 지명이랍니다. 


이날은 오전에 대곡숲을 둘러본 다음 오후에는 건점골짜기 배방사터를 먼저 찾았고요, 이어서 고자실마을과 고자치고재 성황당산성 들머리까지 살펴봤습니다. 


왕욱은 제6대 성종 시절 그 선대(先代) 임금이었던 경종의 아내 헌정왕후와 정분이 났습니다. 아들이 없었던 헌정왕후는 경종이 죽은 뒤 궁궐을 떠나 사제에 머물렀다 하고요 왕욱은 사는 집이 그 가까이 있어서 자주 들렀다고 합니다. 


그러는 가운데 헌정왕후는 왕욱의 아이를 배게 됐고 그게 어찌어찌 들통이 나는 바람에 왕욱은 선왕의 아내를 범했다는 이유로 사수현 귀룡동(지금 사천 성황당산 화전·우천리 일대)에서 귀양을 살게 됐다고 전합니다. 


나무가 적어서 숲이라 하기는 좀 민망하지만, 고자치고개 아래 있는 고자실마을(학촌鶴村마을이라고도 함) 들머리 마을숲. 사진을 찍고 있는 사람은 블로거 김욱님.


헌정왕후는 아이를 낳다가 세상을 떠났고요(992년) 성종은 이런 정상(情狀)이 가여워 아이를 아버지 있는 데로 두 살 때 보냈습니다. 아버지가 죄인이라 같이 살게 하지는 않았고 대신 만나려면 산기슭을 에둘러 고개까지 넘어야 하는 배방사라는 절간에서 자라게 했답니다. 


이로써 왕욱은 살던 집에서 아들이 있는 배방사까지를 오가게 됐는데요, 죽을 때까지 하루도 빠지지 않았습니다. 고자치라는 지명은 이렇게 생겨났습니다. 왕욱의 이런 걸음은 아들을 극진하게 사랑하지 않았으면 불가능했지 싶습니다. 다음날 또 만날 텐데도 돌아오는 고갯마루에서 아들이 안쓰러워 돌아보곤 했다니 말씀입니다. 


그런데 왕욱이 날마다 아들을 찾은 까닭이 그것뿐이었을까요? 당시 왕욱의 아들은 왕위 계승 서열이 두 번째였다고 합니다. 성종은 아들이 없었고요 선왕인 경종만 아들 하나(나중에 제7대 임금 목종)를 남겼을 뿐이었으니까요. 


이런 상황에 비춰보면 아들을 찾아가는 왕욱의 심정이 단순하지는 않았으리라 쉽게 짐작이 됩니다. 자기는 그냥 이렇게 잘못돼도 아들만은 잘 되면 좋겠다는 생각이 굳건했겠지요. 왕욱은 아들이 임금이 될 조건을 나름 갖추도록 다방면으로 애썼을 테고요, 그것이 날마다 찾아가서 자기 지식·경험·경륜 따위를 온전히 전하는 것으로 나타나지 않았을까 싶은 것입니다. 


고자치 지금 모습. 최근 사천시가 이런 형상과 정자를 설치했습니다.


◇아들 현종을 위해 죽어서 엎어진 왕욱 = 이를 잘 보여주는 전설이 있습니다. <신증동국여지승람> '사천현'에 나옵니다. 대충 추리면 이렇습니다. 


"왕욱이 생전에 현종한테 몰래 금(金)을 한 주머니 주며 말했습니다. '아비가 죽거든 금을 지관(地官)에게 주고 귀룡동에 장사지내되 반드시 엎어 묻도록 해야 한다.' 왕욱은 귀양 도중 사천서 죽었습니다(996년). 

나중에 현종이 되는 아들은 지관한테 금을 주고 아버지를 엎어서 묻어달라고 했습니다. 지관은 그런 현종에게 '무엇이 그리 바쁜가'라 말했습니다. 이듬해 2월 현종은 서울로 돌아갔고 나중에 임금 자리에 올랐습니다(1009년)." 


성황당산 들머리 석성에서 내려다보는 사천 들판 풍경. 고려 현종 아버지 왕욱은 이 근처에서 귀양살이를 했다고 합니다. 블로거 선비님이 사진을 찍고 있습니다.


당시 풍수지리는 죽은 사람을 엎어서 장사지내면(복시반복伏屍反復) 당대에 발복(發福)이 된다고 했던 모양입니다. 왕욱은 그렇게 엎어져 묻혀 있다가 아들이 임금이 되고나서 8년 뒤 개성으로 모셔집니다. 왕욱 묻혀 있던 자리는 배방사터에서 고자실마을 지나 고자치를 넘은 다음 조금 내려가면 왼쪽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왕욱과 현종은 이제 한낱 전설로만 떠돌 뿐 그 간절함이나 곡진함 따위는 남아 있지 않습니다. 현종 부자가 당시 살던 자취가 분명하게 남아 있는 것도 아니고요. 1000년 넘는 세월이 지났으니 그게 당연한 노릇이기도 하고요. 


저는 이제 앞으로 누군가가 여기서 이야기를 건져내기를 바랍니다. 그리고 그것이 또 다양한 장르로 변주되기를 기다릴 뿐이랍니다. 


김훤주

저작자 표시비영리변경 금지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1163

Trending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