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ntcast
Channel: 후라이밍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1163

독재의 하수인 권력의 주구가 세운 표지석

$
0
0

경남 의령군 지정면 성산마을에 가면 기강(岐江:거름강)나루가 있다. 의령과 함안을 북과 남으로 가르며 서쪽에서 흘러온 남강 강물이 낙동강으로 합류하는 지점이다. 

기강나루는 임진왜란 의병장 망우당 곽재우의 첫 승전지다. 곽재우는 1592년 5월 4일과 6일 여기 강물 아래에 나무말뚝을 박아둔 다음 낙동강을 거슬러 올라온 왜군의 배가 걸리자 습지 풀밭에 숨어 있던 의병들로 하여금 화살을 쏘게 해서 왜적을 무찔렀다. 

임진왜란 당시 바다와 육지를 통틀어 조선이 이룬 최초 승전이다.(이순신 장군의 최초 승전은 5월 7일 옥포해전) 임진왜란 최초 의병장으로 알려져 있는 곽재우의 이 기강나루전투 승리는 왜군이 호남으로 넘어가지 못하도록 남강 물길을 가로막아 전쟁 초기 최대 곡창인 호남을 지킬 수 있도록 했다. 

백성들한테 끼친 심리적 효과도 컸다고 한다. 왜적 침공 이후 스무 날 남짓 동안 조선 군대는 연전연패 판판이 깨지는 일밖에 없었고 조선 백성들은 정신없이 달아나거나 목숨을 빼앗기는 일밖에 없었다. 왜군은 4월 13일 부산에 들어와 20일만인 5월 2일 서울을 함락했다.

보덕불망비.

그런데 조선이 전투에서 느닷없이 승리했다. 아무도 예상 못한 결과였다. 그것도 관군도 아니고 100명도 채 되지 않는 의병 무리가. 그래서 조선 백성들한테 왜군이 무적이 아니고 우리도 힘을 모아 싸우면 물리칠 수 있다는 자신감을 더 크게 심어줄 수 있었다. 

이런 곽재우를 선조 임금은 선무공신2등으로밖에 대접하지 않았다.(1등은 이순신 권율 원균 세 사람뿐이다.) 그런데 <조선왕조실록>을 읽어보면 알 수 있듯이 조선 조정은 세월이 흐를수록 곽재우를 더 높이 평가했다. 

곽재우한테 충익공이라는 시호가 내려진 것은 1617년 사후 90년 남짓 지나 숙종 시절인 1709년(숙종 시절)이고 보덕불망비는 영조 시절 1739년(사후 120년) 세워졌다. 이 빗돌을 둘러싸고 있는 보덕각(報德閣)은 그러니까 보덕불망비를 보호하는 건물이다. 

보덕각.

보덕각 바로 옆에는 쌍절각(雙節閣)이 있다. 임진왜란 당시 경남 합천군 초계면 마진 전투에서 왜적에게 죽임을 당한 손인갑 장군과 아들 손약해를 기리는 것이다. 1609년 의령군 봉수면 신현리에 세웠었는데 여기로 옮긴 때는 1943년이다. 

그 앞에는 보덕각과 쌍절각을 알리는 표지석이 하나 있다. 옆면에도 한자가 적혀 있는데 그냥 한글로 적으면 이렇다. "박정희 대통령 각하 분부/ 1978년 12월 22일 중수/ 1979년 12월 30일/ 의령군수 정계수".

'각하'는 그렇다 치더라도 '분부'는 또 무엇인가? '지시'도 아니고 말이다. 봉건제 아래에서 종놈종년이 주인 양반한테 아뢰는 낱말이다. 권위주의·전체주의 냄새가 물씬 나는 어휘 선택이다. 하기야 당시 박정희 독재가 보통은 아니기는 했다.

박정희는 1961년 5월 16일 군사쿠데타로 집권해 1979년 10월 26일 부하 총에 맞아 죽을 때까지 18년 5개월 동안 이 나라를 무단 통치했다. 박정희는 군인이라면 당연히 지켜야 하는 나라를 지키는 대신 정권을 들어먹는 군사쿠데타를 일으킨 장본인이다. 

그러다 보니 그 부당성을 가리기 위해 백성들 신망이 높은 옛적 장군들을 적극 활용했다. 먼저 이순신 장군을 성웅으로 떠받들고 충남 아산 이순신 사당 현충사를 대대적으로 성역화했다. 집권 초기인 1963~67년의 일이다. 

보덕불망비와 보덕각 등 의령 곳곳에 있는 곽재우 장군 유적을 정화하는 사업도 당연하게 펼쳐졌다. 영구 집권을 꿈꾸던 정권 말기인 1976~78년에 벌어진 일이다. 

빗돌에 새겨져 있는 중수 날짜인 1978년 12월 22일은 의령읍내 충익사 준공식이 열린 날이다. 박정희가 숨지기 10개월쯤 전에 의령을 찾았던 것이다. 충익사 준공식에서 박정희가 기념식수한 주목(朱木)은 충익사 마당에 지금도 그대로 있다. 

박정희가 기념식수한 주목. 경남도민일보 사진.

기강나루 보덕각·쌍절각 앞 표지석에는 정계수라는 당시 군수 이름이 적혀 있다. 보통은 '분부'를 내린 사람만 새기고 '분부'를 받든 사람은 새기지 않는다. 그런데 왜 이랬을까? 그것도 박정희가 부하한테 총맞아 죽고 나서 두 달이 지난 시점이다. 

본인은 충성을 다한다고 생각했을 수 있다. 그러나 충성의 대상이 잘못되었다. 왕조가 아닌 민주공화국에서는 일반 국민을 섬겨야 진짜 충성이다. 그러니까 지금 보기에 저것은 자기가 권력의 주구(走狗)이고 독재자의 하수인이라는 지워지지 않는 표식이다. 

독재자는 저 혼자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은 주구와 하수인들의 부역질을 통해 독재는 세상에 온전하게 제 모습을 드러낸다. 주구나 하수인은 대체로 이처럼 위로는 분부를 무조건 받잡고 아래로는 백성들 피땀을 무조건 쥐어짠다. 

충익사 마당에는 좋고 오래된 나무들이 즐비하다. 감나무 모과나무 배나무 배롱나무 노간주나무 등 종류도 여럿이고 나이도 많은 경우 500살을 웃돈다. 원래 의령 여러 마을들에서 자연스레 자라던 것들인데 군수 정계수가 준공식에 참석하는 박정희한테 잘 보이려고 어거지로 옮겨왔기 때문이다.

지금 우리 앞에 펼쳐지는 박근혜-최순실게이트도 마찬가지다. '그 무엇을 상상하든 언제나 그 이상을 보여주는' 국정농단이다. 이런 엄청난 국정농단도 박근혜-최순실의 분부를 영혼없이 그대로 받잡아 수행한 주구와 하수인들의 부역질을 통하여 완성되었다. 

이런 주구와 하수인들은 바로 우리 옆에서도 부역질을 해댔다. 의령군청 홈페이지에 들어가 역대 군수 코너를 찾아보았다. 정계수가 제25대 의령군수로 1978년 5월 4일부터 1980년 3월 17일까지 재직했다고 되어 있었다. 거기 보니까 조그맣고 흐릿하지만 증명사진도 하나 붙어 있었다. 


김훤주

저작자 표시비영리변경 금지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1163

Trending Articles